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

저격수(Sniper)의 세계 저격수, 전장의 '사냥꾼' 저격수란? 우수한 사수 중에서도 더욱 고도로 훈련된 사격의 달인을 저격수라고 부릅니다. 이들은 상황에 따라 표적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는 능력이 요구되며, 실제로 역사 속에 이름을 남긴 저격수들은 대부분 어린 시절부터 총을 잡고 사냥으로 생계를 유지해 온 '생계형 총잡이'들이었습니다. 저격수의 역사 저격수가 정식으로 부대에 편제되기 시작한 것은 영국의 로뱃 정찰대로부터입니다. 이들은 저격수 위장복인 '길리 슈트'를 처음으로 입기 시작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군은 특등사수들에게 망원조준경이 달린 소총을 지급하면서 가장 적극적으로 저격수를 활용했고, 제2차 세계대전에서는 저격수의 역할이 더욱 커졌습니다. 베트남전에서는 더욱 저격수의 중요성이 높아졌으며, 미군 저격수들이 .. 2024. 2. 2.
'군경력증명'이란? 군 복무의 흔적을 담은 군경력증명 개요 군 복무와 관련된 중요한 문서 중 하나인 '군경력증명'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군경력증명은 병적증명서 발급대상자의 요구에 따라 병적기록표상의 주특기와 복무기록을 기반으로 군복무(보충역 복무 포함) 당시의 경력을 병적증명서의 군경력란에 기재하여 발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군경력증명의 필요성 군경력증명은 군복무 경력을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문서로서, 후에 취업이나 진학 등에서 본인의 경력을 입증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병적증명서 발급대상자가 군복무에 관한 경력증명을 요구할 경우에는 이를 병적증명서 경력사항란에 기재하여 발급하게 됩니다. 군경력증명 발급 절차 군경력증명은 지방병무청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병적증명서 발급대상자가 군복무에 관한 경력증명을.. 2024. 2. 2.
대한민국 상륙함 독도함! 아시아 최대 상륙함 독도함! 한국형 경항공모함으로 불리며 아시아 최대의 상륙함인 '독도함'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독도함의 특징과 기능 독도함은 2005년 7월에 진수된 이후로 한국의 해군력을 대표하는 함선으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그 외형만 보면 경항공모함과 다름없어 보이지만, 전문가들은 실제 항공모함의 기능을 하지 않기 때문에 외형만으로는 경항공모함으로 볼 수 없다고 말하며, 다목적 상륙함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독도함의 기능은 해서 이지스함(세종대왕함 등), 한국형 구축함(KDX-Ⅱ,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등으로 구성되는 '기동전단'의 기함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한, 평시에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대규모 국제 재난 구호활동, 유사시 해외 교민 철수 등에 활용될 수도 있습니다. 재해 난민.. 2024. 2. 2.
병역의 다른 형태 '보충역' 병역의 한 종류인 '보충역' 개요 대한민국 병역의 한 종류인 '보충역'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보충역은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신 현역 복무와는 다른 형태의 병역입니다. 그렇다면 보충역이 무엇인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충역의 정의 보충역은 병역법 제5조에 따라 병역을 분류하는 하나의 종류로, 징병검사를 받아 현역 복무를 할 수 있음이 판정된 사람 중에서 병력수급 사정에 의하여 현역병입영대상자로 결정되지 않은 사람을 말합니다. 또한, 공익근무요원, 공중보건의사, 징병검사전담의사, 국제협력의사, 공익법무관, 공익수의사, 전문연구요원, 산업기능요원으로 복무 또는 의무종사하고 있거나 그 복무 또는 의무종사를 마친 사람도 포함됩니다. 보충역의 특징 보충역은 병역의 특성상 복무.. 2024. 2. 2.
K9 자주포, 세계를 향해 도약한 대한민국의 자존심 K9 자주포, 국산 무기체계의 대표 주자 개요 K9 155㎜ 자주포는 국산 무기체계의 대표 주자로, 1990년대에 국방과학연구소(ADD)를 중심으로 100여 개의 산학연이 협력하여 개발하였습니다. 세계적으로 K9 자주포와 유사한 성능을 가진 155㎜ 자주포는 몇 종이 있으나, 운용성까지 고려하면 K9보다 더욱 우수한 자주포는 아직까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무기 개발 연구 우리나라의 무기체계 연구개발은 1970년대 '자주국방'을 목표로 시작하였고, 기본화기인 소총 등을 긴급 획득하려는 '번개사업'이 그 첫발을 내디뎠습니다. 이후 화포 개발 역량을 높이기 위해 미국의 M101A2 105mm 곡사포를 모방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1978년 105mm 견인곡사포 KH-178과 1979년 155.. 2024. 2. 2.